십이지 간의 역사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십이지의 개념은 중국의 은나라에서 시작되어서 한나라 중기까지 이르러 방위나 시간에 대응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쥐, 소, 범,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의 십이지 순서로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설화가 있습니다. 동물의 발가락 수를 기준으로 정했다는 설, 각 시에 활동하는 동물 순으로 정했다는 설, 정월 초하루에 제일 먼저 천계의 문에 도착한 동물 순으로 정했다는 설 등 각가지 많은 설이 있습니다. 이중 각 시에 활동하는 동물 순으로 순서를 정했다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습니다. 십이지의 첫 번째 동물인 쥐는 달로 치면 11월 시간은 오후 11시부터 새벽 1시 까지를 가리킨다. 쥐는 영리하고 재빠른 동물로 재앙이나 농사의 흉년, 뱃길의 사고를 예견해주는 영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쥐의 왕성한 번식력과 활동력은 예지력과 다산과 근면 재물과 부를 상징합니다. 어른들이 보통 쥐띠는 평생 먹을 것 걱정 없이 산다는 말을 자주 합니다. 이는 근면하고 활동적인 쥐의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합니다. 소는 십이지의 두 번째 동물입니다. 달로 치면 12월 시간은 오전 1시부터 3시까지를 가리킵니다. 농경사회에서 소는 농사일을 하는 데 꼭 필요한 가축으로 가족이나 다름없는 존재였습니다. 옛날에는 소가 있고 없고 가 부자의 유무를 가릴 정도였다고 합니다. 소는 농사의 신으로서 부와 풍요로움과 힘을 상징합니다. 꿈에 소가 등장하면 조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람이 죽으면 산에 보통 묘를 쓰는데 산 형세가 소의 형세이면 자손이 부자가 된다는 말이 이러한 의미 때문에 나온 말입니다. 범 또는 호랑이라고 불리는 범은 십이지의 세 번째 동물로 달로 치면 1월, 시간은 오전 3시부터 5시까지를 가리킵니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아 범이 산속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고 절에서도 신으로 모시어 범그림이 자주 그려져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화 설화 속에서 범 또는 호랑이는 인간을 돕거나 인간의 도움을 받으면 은혜를 갚는 등 보다 친근한 존재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십이지의 네 번째 동물은 토끼입니다. 달로 치면 2월 시간은 오전 5시부터 7시까지를 가리킵니다. 전래동화를 보면 토끼는 항상 꾀돌이 역할로 많이 나옵니다. 호랑이를 속이거나 자라를 속이는 등 전래동화 속에서 토끼는 의롭고 꽤 많은 동물로 자주 등장합니다. 행동이 민첩하여 심부름꾼이나 전령 역할을 도맡는 토끼는 유교적인 의미에서 충성스러운 동물입니다.
'Information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신화 속 원과 우로보로스 이야기 (0) | 2020.02.01 |
---|---|
십이지간의 역사(3) (0) | 2020.01.30 |
십이지간의 역사(2) (0) | 2020.01.30 |
별자리의 기원 (0) | 2020.01.29 |
십이간지 유래 (0) | 2020.01.28 |
최근댓글